기술분야 에너지,자원
기술명 FRP 보강근용 섬유꼬임방지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FRP 보강근 제작방법 및 그에 따라 제작된 FRP 보강근
특허권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출원번호 10-2015-0027050

-배경

기존 기술에서는 FRP용 섬유가, 롤 내부로부터 인출되므로 후속 공정으로 가면서 FRP용 섬유가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 게 된다. 납작한 형상의 로빙사로 이루어진 FRP용 섬유가 꼬여진 채로 후속 공정인 인발공정으로 공급되어 원형 단면 을 가지는 봉형상의 FRP 보강근을 형성하게 되면, FRP 보강근의 내부에서 FRP용 섬유가 꼬여진 상태로 경화되어 존 재하므로, 그로 인하여 FRP 보강근 전체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기술성

납작한 띠 형상의 로빙사로 이루어진 섬유를 수지함침, 인발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FRP 보강근을 제작함에 있어서, FRP용 섬유가 꼬여진 채로 인발성형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FRP 보강 근의 내부에서 FRP용 섬유가 꼬여진 상태로 경화되어 존재함으로 인한 FRP 보강근 전체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저 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경제성

FRP 보강근을 제조할 때, 성형노즐로 진입하는 FRP용 섬유의 집속된 형태는 FRP용 섬유의 두께방향으로 여러 겹의 FRP용 섬유가 적층된 형태가 되면서도 FRP용 섬유가 꼬이지 않은 상태가 되어, 성형노즐로 진입하게 되며, 따라서 제 작된 FPR 보강근의 전체 길이에서 볼 때 FRP 보강근을 이루는 각각의 FRP용 섬유 자체는 꼬이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 게 된다. 

 

-시장성

건자재 시장규모는 2010년 60.4조원, 2015년에는 65.1조원으로 추정되며, 2020년에는 68.4조원, 2030년에는 71.9조 원으로 전망된다. 

문의처 주식회사 이산컨설팅그룹
전화번호 02-556-5559
이메일 admin@isan.co.kr
첨부파일 첨부파일 16.pdf
목록